언론중재위 지난해 시정권고 942건…‘차별 금지 위반’ 1위

김기중 기자
수정 2025-01-24 11:03
입력 2025-01-24 11:03

언론중재위원회가 지난해 1년 동안 신문이나 잡지 등의 보도에 대해 내린 시정권고가 942건으로 집계됐다.
24일 언론중재위에 따르면, 지난해 시정 권고 건수는 전년 1158건 대비 216건(18.7%) 적었다. 시정 권고 이유로는 ‘차별 금지 기준 위반’이 241건(25.6%)으로 가장 많았다. 자살 보도 기준 위반이 226건(24%)으로 뒤를 이었다.
언론중재위는 차별 금지 기준 위반 기사 가운데 제목에서 ‘눈먼 돈’, ‘벙어리 냉가슴’, ‘결정 장애’ 등 표현을 사용해 장애를 부정적 비유의 대상으로 삼은 경우가 많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관용적 표현이어도 언론의 사회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 차별이나 편견, 부정적 인식을 조장할 우려가 있으면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했다.
자살 사건을 보도할 때 쓰는 ‘극단적 선택’이라는 표현에 대해 자살을 삶의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을 수 있어 ‘사망’ 혹은 ‘숨지다’와 같은 객관적 표현을 쓰라고 권고했다.
김기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