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석훈의 청년이 행복한 나라] 우리는 이제 21세기로 간다
수정 2025-01-16 00:45
입력 2025-01-16 00:16
12·3 계엄으로 1980년대 역행
20세기식 정치에 청년층 상처
野도 온전한 21세기 세력 아냐
과거가 미래를 이길 수는 없다
헬기에서 내린 군인들이 총을 들고 국회 유리창을 깨던 날, 나는 20세기로 강제로 끌려 들어갔다. “눈 떠보니 선진국”이었던 한국의 꿈은 끝났고, 그날 우리는 “눈 떠보니 개도국”이 됐다. 그때와 많이 다른 것은 원화의 가치다. 전두환의 12·12가 있던 1980년 달러 환율은 660원이었다. 지금은 1500원을 겨우겨우 방어하고 있다.휴전선에서나 보던 뾰족뾰족한 철조망에서 버티던 대통령이 결국 체포됐다. 그사이 신동아건설이라는 건설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이제는 많이 위축된 회사지만, 나에게는 잊지 못할 기억이 담긴 회사다. 막내 이모부가 그곳에서 일했고, 1979년 중동에서 귀국하면서 대한항공 로고가 박힌 만년필을 선물해 주셨다. 나의 첫 만년필이었다. 너무 기뻤다. 공교롭게도 그 선물을 받은 초등학교 6학년인 내가 목격했던 첫 역사적 사건이 전두환의 12·12였다. 신동아건설은 여의도 63빌딩의 시공사다.
21세기 한국, 우리는 21세기를 살고 있는 줄 알았지만 그건 서양식 달력이 준 착각이었다. 여전히 20세기를 살고 있는 대통령과 그 집권 세력은 기억에도 가물가물한 1980년으로 우리 모두를 데리고 갔다. 아니야, 그건 잠시의 착각이야. 그렇게 머리를 흔들어 보려고 해도, 미국에서 정치학까지 공부한 김민전 의원이 국회에 백골단이라 부르는 사람들을 데리고 들어온 것을 결국 보게 됐다. 깨어나지 않는 악몽처럼 반공청년단의 50년대, 국회를 전격적으로 해산한 유신의 70년대 혹은 전두환의 80년대로 가라고 했다.
더 충격을 받고, 정서적 상처를 받은 것은 20대들이다. 그들은 선진국에서 태어나 선진국 국민이 되었다. 장년들 혹은 노인들과 달리 그들은 ‘21세기 피플’들인데 12월 3일 처음 총을 보면서 정서적 충격에 빠졌다. 그들은 마포대교를 걸어서 건넜고, 여의도에서 응원봉을 들고 대통령 탄핵을 외쳤다. 정말 미안했다. 21세기를 살았던 그들이 군사정권의 아름답지 못한 모습을 현실 세계에서 보게 만든 이 상황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신동아건설에서 유동성 위기설에 휩싸였던 롯데그룹까지. 한국을 지배했던 20세기 여당의 엘리트들이 대통령 지키기에 골몰하는 동안 한국 경제가 얼마나 버틸지 모른다. 진보와 보수, 그렇게 한국을 설명했는데 현실은 20세기와 21세기가 팽팽하게 힘겨루기 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개도국의 군사독재를 아름답게 생각하는 20세기 세력과, 포스트모던과 노마드 그리고 해체주의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21세기 세력이 기묘하게 공존하고 있었던 것이다.
김용태 신부가 말한 “지랄발광”만큼 이 시대를 잘 설명해 주는 단어는 없다. 시대착오극이 논리를 붕괴시켰다. 그럼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20세기 스타일로 대통령 부부가 귀빈 대접을 받으며 해외 순방을 하고 있는 나라가 아니라, 21세기 스타일로 청년들이 신나게 놀고 큰 고민 없이 자유연애를 하는 나라가 되는 게 맞다. 그게 내가 배운 경제다.
20세기에 속한 이들이 용산에 모여서 총칼로 대통령을 지키자고 했다. 그걸 지켜서 뭐할 건가? 결국 20세기 전성시대를 지금 만들어 뭐할 건가? 청년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지 못하면 우린 다 죽는다! ‘오징어 게임’을 상기하라.
정치가 뭔가. 결국 다 잘 먹고 잘 살자고 하는 일이다. 한정된 자원과 외국과의 경쟁 속에서 국민들이 잘 사는 방법이 우리가 민주주의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싸움은 결국 21세기가 이긴다. 이유는 간단하다. 21세기에 태어난 사람들이 20세기의 총칼 쿠데타를 아름답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과거가 미래를 이길 수 없다.
계엄령 이후 몇 달. 많은 기업이 망하고, 수많은 가게들이 문을 닫을 것이다. 원화 가치는 기록적으로 하락할 것이다. 그렇다면 야당은 온전히 21세기 세력일까? 불행히도 그들의 일부 요소는 전두환과 싸우면서 생겨난 20세기의 것이다. 상명하복, 일사불란, 군사주의 요소가 아직 남아 있다. 그래도 우리는 결국 21세기로 간다. 이 엄청난 혼돈과 상처 위에 결국 만들어야 하는 나라가 바로 ‘청년이 행복한 나라’다. 청년이 행복해져야 노인도 지속가능하게 행복해질 수 있다.
우석훈 경제학자
2025-01-16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