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린 연주 ‘붕~ 뜨는 기분’… 온 우주를 모아 청중 홀릴래요 [오경진 기자의 노이즈캔슬링]
오경진 기자
수정 2025-01-15 01:11
입력 2025-01-15 01:11
<33>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 콩쿠르 3관왕 역대 최연소 수상… 2010년생 바이올리니스트 이현정
천재는 영감과 노력으로 이뤄진다고 한다. 그보다 앞서 중요한 것이 하나 더 있다. ‘우연’이다. 올해 중학교 3학년에 올라가는 바이올리니스트 이현정(15)은 여섯 살이던 어느 날 엄마 손을 잡고 따라간 예술의전당에서 ‘우연히’ 본 바이올린 연주에 매혹됐다. 그리고 지금껏 하루 열 시간 이상 손톱이 휘어지고 살이 찢어지도록 바이올린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오는 18일 서울 마포아트센터에서 열리는 마포문화재단 신년 음악회에서 KBS교향악단과 표트르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를 협연하는 그를 14일 공연장에서 만났다.“밥 먹는 시간 빼고는 방음실에서 연습해요. 새벽 1시 전에는 잠을 못 자요. 요즘 성장기라 잠이 쏟아져요. 자신과 싸우는 거죠. 힘들거나 지루할 때요? 음, 글쎄요. ‘그냥’ 하는데….”
●18일 KBS교향악단과 차이콥스키 협연
가족 중 클래식을 공부한 사람은 없었다. 바이올린을 배운 지 몇 달 되지 않은 상태에서 처음으로 나갔던 콩쿠르. 어떤 곡을 연주했는지도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서툴렀지만 한 가지는 분명했다. 무대 위 많은 사람 앞에서 바이올린을 켤 때 느껴지는 ‘붕 뜨는’ 기분이 있었다는 것. 바이올린을 만나지 않았다면 이런 순간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이현정은 지난해 루마니아 제오르제 에네스쿠 국제 콩쿠르에서 바이올린 부문 준우승과 청중상, 최고연주상 등 3관왕을 차지했다. 이 콩쿠르 역대 최연소 수상이었다. 천재, 영재, 신동과 같은 단어가 그의 주위로 범람한다. 하지만 클래식계에서 이런 말을 들어보지 않았던 사람이 어디 있으랴. 어린 연주자도 이를 모르지 않는 눈치였다. 그는 시종 ‘겸손’을 이야기했다.
●연주 후 부족했던 것 생각하며 ‘겸손’
“시상식에서 제 이름이 호명됐을 때 잘 들리지 않았어요. 카메라가 저를 비추고 그저 어리둥절했죠. 영재는 타고난 재능보다는 끊임없이 노력하는 과정에 있는 것 아닐까요. 연주가 끝나면 뭐가 부족했는지 생각해요. 오히려 그게 저를 괴롭히기도 하죠. 저는 저를 믿어요. 하지만 그것이 자만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경계해요.”
음악과 동떨어진 질문을 던졌다. 바이올린 말고 좋아하는 게 있는지. 매운 떡볶이와 판타지 소설을 좋아한단다. 영락없는 중학생이다. 그는 악기로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데는 자신 있지만 아직 단단한 소리를 내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고 자평했다. 활을 켜는 속도를 높이면서도 중간에 뜨지 않고 알찬 소리를 내고 싶단다. 그래서 요즘 ‘증량’을 위해 많이 먹고 있다고도 했다. 차이콥스키에 대해서는 “감정 기복이 심한 작곡가인 것 같다”고 평했다. 조울(躁鬱)을 현란하게 오가는데, 마치 또래의 사춘기 소녀 같단다.
“연습할 땐 다양한 연주법을 연구하지만, 무대 위에서는 그냥 손에 맡겨요. 그리고 머릿속으로는 곡에 어울리는 풍경을 상상하죠. 기쁜 걸 표현할 땐 연주를 끝내고 친구들이랑 놀러 가는 상상을 하기도 했어요.”
●너그러운 인품의 연주자 되는 것이 ‘꿈’
너그러운 인품을 가진 연주자가 되는 게 소녀의 꿈이다. 악보를 정확하게 따라가는 것도, 악기와 혼연일체가 돼 화려한 기교를 보이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그게 연주의 전부가 아니라는 걸 그는 알아채고 있었다. 그것도 너무 일찍.
“콩쿠르 전에 선생님이 이런 말을 해 줬어요. ‘온 우주를 모아서 청중을 홀리고 오라’고. 항상 그 말을 떠올리면서 무대 위에 올라요. 이 우주에 있는 기쁨, 고통, 환희 등 별의별 감정들을 잘 배우고 떠올리며 연주하겠습니다.”
오경진 기자
2025-01-15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