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권리당원·일반국민 이중투표 해주세요”[서울신문 보도 그후]
![김가현 기자](https://img.seoul.co.kr/img/n24/writer/s_2021009.png)
김가현 기자
수정 2024-02-28 02:28
입력 2024-02-28 00:42
여전히 판치는 경선 비리
![국회의원선거 신형 투표지분류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2/27/SSC_20240227185007.jpg)
27일 서울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여러 지역구에서 특정 후보를 위해 이중투표를 유도하는 정황이 확인됐다. 통상 민주당은 경선에서 권리당원(매월 1000원씩 6개월간 납부한 당원) 선거인단을 대상으로 자동응답전화(ARS) 투표를 실시해 50%를 반영하고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안심번호(개인정보 보호용 전화번호)로 일반 국민 ARS 여론조사를 실시해 50%를 반영하는데, 한 사람이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으로 2표를 행사하도록 하는 불법 행위가 나타났다는 의미다.
서울 지역에 출마한 한 후보 측이 단체대화방 공지를 통해 이중투표를 유도하자 한 대화방 참가자는 “저는 4년 전 총선 때 권리당원 전화도 받았고, 일반 국민 여론조사 전화도 받았다. 2개 다 제가 원하는 의원을 꼭 눌렀다”고 실사례까지 알렸다는 것이다.
전날부터 이틀간 경선이 진행 중인 호남 지역의 한 후보 캠프에서도 페이스북을 통해 권리당원·일반 국민 여론조사에 이중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 뒤 “일반 국민 여론조사 도중 ‘권리당원이냐’는 질문이 나오면 ‘아니오’라고 답한 뒤 투표를 마무리하라”고 안내했다.
민주당의 한 인사는 이날 통화에서 “이중투표를 조직적으로 조장하는 행위가 비일비재하다”며 “근본적으로 일반 국민 선거인단 안심번호와 권리당원 선거인단의 중복을 제거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특정 지역구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통신사 청구서 발행지 주소를 해당 지역으로 바꾸면서까지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 참여하는 부정투표도 일어나고 있다. 최근 광주 동구남구갑 지역구 경선에서 진 윤영덕 민주당 의원은 상대 후보가 경선 시작에 앞서 경선에 사용할 ARS 번호를 사전에 유출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김가현 기자
2024-02-28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