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률 높이려 쓰는 ‘안심번호’… 되레 허위조사 참여 부추긴다 [열린 경선과 그 적들-총선리포트]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수정 2024-01-09 06:22
입력 2024-01-09 02:30
서울신문 그래픽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총선·지방선거 등의 경선에서 사용하는 자동응답전화(ARS) ‘안심번호’가 응답률을 높이려는 목적과 별도로 허위 조사 참여를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당은 총선·지방선거를 향한 경선에서 당원(국민의힘 책임당원·민주당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ARS 여론조사 50%의 결과를 취합한다. 이 중 일반 국민 ARS 여론조사는 3개 통신사(SKT·KT·LG유플러스)에서 받은 ‘안심번호’로 진행한다.

●개인정보 노출 안 되게 가상 번호로 변환

안심번호는 이용자의 실제 휴대전화번호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상의 번호로 변환한 것이다. 통상 ‘010’으로 시작하는 11자리 휴대전화번호를 ‘050’으로 시작하는 11~12자리로 변환해 제공하며 여론조사 업체가 이 안심번호로 ARS를 하면 휴대전화의 원래 소유주가 받는다. 안심번호는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응답률을 높이려 사용한다. 하지만 경선 비리 의혹이 불거져도 여론조사 참가자가 해당 지역구의 거주민인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또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안심번호는 휴대전화 요금의 ‘청구서 발행지’가 근거인데 이용자는 통신사 고객센터 애플리케이션으로 3분도 안 돼 허위 주소지로 바꿀 수 있다. 안심번호 덕에 해당 지역구에 살지 않아도 주소지를 바꿔 경선에 참여할 수 있고, 사후에 걸릴 염려도 없는 셈이다.


●지역구 거주민인지 확인 못 해 사후 처벌 염려도 없어

이에 대해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은 수사 권한이 없어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없고 당 차원에서 경선 조작 문제를 들여다보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업계 관계자는 “특정 지역 응답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지나치게 높을 경우 데이터를 다시 들여다본다”고 말했다.

특별기획팀
2024-01-09 4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