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중국 이길 방법 찾았나…담금질 끝낸 여자축구, 중국으로 출국

김헌주 기자
수정 2023-10-23 14:53
입력 2023-10-23 14:44
파리 올림픽 아시아 2차 예선
26일부터 중국 샤먼서 3연전
태국전 승리 후 北·中 맞서야
4강서 일본·호주 만날 가능성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 20위 한국은 26일부터 중국 푸젠성 샤먼에서 태국(46위), 북한, 중국(15위)과 차례로 경기를 치른다.
‘사상 첫 올림픽 진출’을 목표로 내세운 한국은 이번 3연전에서 조 1위를 해야 한다. 조 2위를 할 경우에도 4강에 합류할 수 있지만 A조, C조 2위 국가보다 성적이 좋아야 한다.
최종 예선인 4강 토너먼트는 내년 2월 열린다. 한국이 4강에 오르면 전력상 C조의 일본(8위) 또는 A조 호주(11위)와 만날 가능성이 크다. 아시아에 배정된 2장의 티켓 중 하나를 거머쥐려면 이 두 팀 중 하나를 넘어서야 하는 셈이다.

우리나라는 북한을 상대로 2005년 8월 동아시안컵 1-0 승리 이후 18년간 13차례 만나 2무 11패로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2022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도 1-4로 북한에 패했다.
중국과의 상대전적은 5승 7무 29패. 2021년 4월 도쿄올림픽 최종 예선 중국과 2차전에서 전반까지 2-0으로 앞섰지만 연장전 끝에 2-2로 비겨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2023 FIFA 호주·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항저우아시안게임에 이어 올해 세 번째 도전에 나선 벨 감독이 명예회복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벨 감독은 지난 16일 취재진에 “올림픽 2차 예선에선 모든 경기에서 이기는 게 목표”라면서 “북한과 중국이 어려운 상대지만 이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헌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