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비보다 더 나가는 학원비···5분위 가구서 한 달 114만원

곽소영 기자
수정 2023-06-25 17:15
입력 2023-06-25 17:15
전 소득 계층에서 식비보다 사교육비↑
소득 상위 20% 월 평균 학원비 114만원
성적 높을수록·영어 과목서 사교육비 높아

연합뉴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5분위(가계 소득 상위 20%) 가구 중 만 13~18세 자녀가 있는 가구의 한 달 평균 학원·보습 교육비 지출액은 100만 2000원이었다. 이 중 자녀가 사교육을 받지 않는 가구를 제외할 경우 114만 3000원으로, 월 평균 지출액 653만원 중 17.5%를 차지했다.
이들 가구의 월 평균 식료품·비주류 음료 소비 지출은 63만 6000원, 주거·수도·광열비 지출은 53만 9000원이었다. 사교육비가 가족 전체의 식비와 주거비를 더한 수준인 셈이다.
4분위 가구 역시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은 84만 9000원이었지만 식·음료 지출은 56만 7000원에 그쳤다. 보통 소득이 낮을수록 전체 지출 중 필수 의식주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에서도 학원비(48만 2000원)가 식비(48만 1000원), 주거비(35만 6000원)보다 많았다.
성적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사교육이 좋은 성적을 내거나 유지하는데 필수라고 인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성적 상위 10% 내 고등학생의 월 평균 사교육비는 59만원인 반면 하위 20%는 32만 3000원에 그쳤다.
과목별로는 영어 사교육비가 가장 높았다. 지난해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월 평균 사교육비는 영어(12만 3000원), 수학(11만 6000원), 국어(3만 4000원) 순이다.
세종 곽소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