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하루 10시간 틀면 14만원…‘전기료 폭탄’ 현실화

최재헌 기자
수정 2023-06-25 17:12
입력 2023-06-25 17:04
시스템형·스탠드형·벽걸이형 순으로 부담 높아져

올여름 하루 평균 10시간씩 에어컨을 틀면 4인 가족 기준 14만원이 넘는 전기료를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부터 전기요금이 세 차례에 걸쳐 ◇(킬로와트시) 당 28.5원 오른 만큼 올여름 ‘냉방비 폭탄’ 고지서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한국전력이 전기료 인상을 반영한 에어컨 형태별 요금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4인 가구가 에어컨을 하루 평균 9.7시간 가동할 때 나오는 전기료는 월 8~14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283◇(5월 전국 전기 사용량 추정치) 전기를 사용하는 4인 가구가 평균 수준인 하루 7.7시간(한국갤럽 조사 평균) 에어컨을 사용할 때 월 전기요금은 시스템형 12만 2210원(사용량 530◇), 스탠드 분리형 10만 3580원(479◇), 벽걸이 분리형 7만 5590원(408◇) 등으로 나타났다.
2019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의 가구에너지패널조사를 바탕으로 추정한 값에 따르면 에어컨 종류별 시간당 전기소비량은 벽걸이 분리형이 0.5◇로 가장 적었고, 스탠드 분리형(0.8◇)과 시스템형(1.1◇)이 뒤를 이었다.
만약 각 가구에서 에어컨을 1시간씩 더 가동해 하루 평균 8.7시간 쓴다면 전기요금은 시스템형 13만 3900원, 스탠드 분리형 11만 2710원, 벽걸이 분리형 7만 9750원 등으로 오른다.
에어컨을 2시간씩 더 사용해 하루 평균 9.7시간 쓴다면 전기요금은 시스템형 14만 5590원, 스탠드 분리형 12만 2210원, 벽걸이 분리형 8만 3910원 등으로 높아진다.

에어컨 가동시간을 하루 평균 2시간씩 줄이면 종류별로 최소 8320원에서 최대 2만 3380원까지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전은 오는 7~8월 전기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3단계 누진 구간의 상한을 확대한다. 1단계는 0∼200◇에서 0∼300◇, 2단계는 201∼400◇에서 301∼450◇, 3단계는 401◇ 이상에서 451◇ 이상으로 높인다.
하지만 에어컨 사용량 증가로 누진 구간이 바뀌면 요금 증가 폭은 가팔라진다. 예컨대 월 전기 사용량이 450◇를 초과할 경우 3단계 요금 단가(◇당 307.3원)와 기본요금(7300원)이 적용돼 요금 증가 폭이 커진다는 것이다.
한전은 “평소 전기소비가 많은 가구일수록 에어컨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취약계층, 소상공인은 복지할인 제도, 전기요금 분할납부 제도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최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