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판 장발장에 도움의 손길 내밀다…“인세 기부하겠다” 문의도

김헌주 기자
수정 2023-01-27 19:11
입력 2023-01-27 19:11
장발장은행, 100번째 대출 심사
2시간 심사 끝에 8명 시민 선정
정부 지원 없이 민간 후원으로 운영
책 쓰고 인세 기부 밝힌 선생님들
은행 “벌금제 개혁 하면 문 닫을 것”

장발장은행에 따르면 100번째 대출 심사는 지난 26일 오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 2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홍세화 장발장은행장, 민갑룡 전 경찰청장 등 심사위원 7명이 신청자들이 서면으로 낸 자료를 꼼꼼히 검토한 끝에 대출 대상자로 20대부터 70대까지 총 8명을 선정했다. 이 중에는 가장으로서 생계를 이어가기도 힘든 상황에서 억울하게 벌금형을 선고받은 이들도 있었다. 80만원을 받은 사람부터 대출 상한선인 300만원을 받은 사람까지 다양했다. 총 대출금액은 1550만원이다.
이 은행의 심사 기준은 ‘돈을 빌리려는 사람이 얼마나 절실한가’로 대출 신청자의 신용은 따지지 않는다. 무담보, 무이자로 1년 내 균등 상환하는 조건이다. 은행 관계자는 27일 “아무리 힘든 사연이라도 아무에게나 대출해줄 수는 없다”면서 “일단 신청은 다 받지만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 엄격히 심사를 하고, 대신 선입견을 갖지 않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최근 두 달만 해도 100만원 이상 후원자가 7명(단체 2곳 포함)이다. 490만원을 후원한 사람도 있었다.
이달 초 ‘학교 체육의 놀라운 힘’ 저자 8명 중 한 명인 이태구(고양 백신중) 교사는 “인세를 기부하겠다”며 은행 측에 후원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이씨는 통화에서 “함께 책을 쓴 다른 선생님들에게 ‘주변에 어려운 사람이 많은데 앞으로 발생하는 모든 인세를 남을 돕는 데 쓰면 어떻겠느냐’고 먼저 제안을 했고 선생님들도 흔쾌히 승낙을 해주셨다”면서 “방송을 보고 장발장은행을 알게 됐는데 다음달 중순쯤 선생님들과 함께 은행을 찾아가 후원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다음달 출범 8주년을 맞는 이 은행은 국민연금이나 국민건강보험처럼 벌금도 소득과 재산에 따라 연동해 낼 수 있어야 공평한 형벌이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장발장은행은 이러한 벌금제 개혁으로 가기 위한 과정에서 만들어진 은행으로 재산·소득 비례 벌금제(일수벌금제)가 도입된다면 문을 닫겠다고 했다. 국회와 정부는 장발장은행의 숙원 사업을 해결해줄 수 있을까. 101번째 대출 심사는 다음달 27일 진행된다.
김헌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