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감서, “석포제련소 바닷가로 옮겨야, 원료 수입해 제련하기 때문”

김상화 기자
수정 2022-10-17 14:27
입력 2022-10-17 14:27

더불어민주당 최기상 의원이 “낙동강 수계 꼭대기에 있는 석포제련소 주민의 건강권과 환경권 문제가 불거진 지 오래됐다. 중앙 정부 차원의 처분을 기다리기보다 경북도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주도하는 게 맞다”고 제안하자 그는 이 입장을 밝혔다.
낙동강 수계 최상류인 봉화 석포에 있는 ㈜영풍 석포제련소는 수년간 카드뮴 오염수를 불법 제출해 환경부로부터 과징금 281억 원을 부과받았다.
대표이사 등은 환경 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법정에 선 상태다.
이어 이 지사는 “회사 쪽에서 무방류 시스템 등 7150억원을 들여 개선한다고 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회사와 상의해서 적당한 장소로 옮기는 게 맞다고 판단하며 당장 근로자 수천 명의 생계 문제를 해결할 방안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에는 주민 대표들이 경북도에 찾아와서 (석포제련소를) 제재하지 말아 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도르트문트 프로젝트 등 독일 노후 공업지역과 같은 해외 사례를 들며 이 지사를 향해 “취임한 지 5∼6년이 됐는데도 석포제련소와 관련해서 특별한 성과가 없다”며 “능동적인 대책이 필요한 데, 시 포기한 건 아닌지 우려가 있다”고 추궁했다.
이 지사는 “포기하지 않았고, 워낙 큰 문제라 조금 더 면밀히 검토하는데 중앙 정부의 예산 지원 없이 바닷가로 공장을 옮기는 게 쉽지 않다고 본다”며 “그 문제를 상의하도록 하겠다”고 맞섰다.
안동 김상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