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감염자 4일만에 약 1000명 늘어...정은경 “비상대응계획 마련”

이범수 기자
수정 2022-01-07 18:22
입력 2022-01-07 18:22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7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보건복지부 주최로 열린 ‘오미크론 발생 전망 및 향후 과제 토론회’에 참석해 “국내에서는 2300여명 정도 변이가 확인된 상황”이라며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지난주 기준 4% 정도”라고 말했다.
질병청은 지난 3일 0시 기준 국내 오미크론 감염자가 누적 1318명이라고 발표했는데, 4일만에 1000명 정도가 추가로 확인된 셈이다.
정 청장은 이를 두고 “세계적인 확진자 증가로 해외유입 사례가 하루 200명 정도가 됐고 약 70%는 오미크론으로 확인되고 있다”며 “높은 전파력과 면역 회피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빠르면 1∼2월 중에 우세종화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새로운 위기 국면을 맞이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정 청장은 “오미크론 변이는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새 바이러스”라며 “고위험군에서 중증화율 등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이어서 신속하게 오미크론에 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청장은 또 “격리자가 증가하면 의료나 교육, 돌봄 같은 필수 기능이 마비되고 여러 직장에서 피해로 인해 사회·경제적인 피해가 증가할 우려가 있어 분야별 비상대응계획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해, 그런 내용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