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민정수석 패싱 아니고 신현수 올곧은 면 있어서 사의”(종합)

강주리 기자
수정 2021-02-24 16:10
입력 2021-02-24 16:10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국회 운영위서 답변
“文도, 나도 설득 노력 참 많이 했다”“법무부는 충분히 협의됐다 생각했는데
신현수는 리더십·檢신뢰 상처 받았다 생각”
신현수, 박범계 갈등 뒤 사의표명→사의 접어
野 “국정 불신 초래에 해명·사과 없이 넘어가”


“민정수석, 검찰 인사안 좀 더 깔끔하게
마무리 짓고자 했던 부분 있었던 듯”유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에서 “인사안을 확정하는 단계에서 민정수석은 좀 더 깔끔하게 마무리짓고자 하는 부분이 있던 것 같다”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법무부 입장에서는 제청에 의해 대통령께 재가가 올라가니 충분히 협의가 됐다고 생각을 하고, 그 사이에 민정수석 입장에서는 어떤 리더십이나 검찰에 대한 신뢰 부분에 상처를 받았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으냐”면서 “그런 쪽이 표출된 문제”라고 설명했다.
유 실장은 신 수석이 휴가에서 돌아와 대통령에 거취를 일임한 과정에 대해 “(설득 노력을) 참 많이 했다. 지난 주말에 이틀 휴가를 가서 ‘좀 더 생각해주십쇼’ 저도 부탁을 드렸다”면서 “저도 굉장히 사의를 만류했고 대통령께서도 만류했다”고 답했다.
신 수석의 거취에 대해서는 “그건 모른다. 해야할 일이 중단되지 않아야 할 것이고,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상 승인… 법무·검찰 피로 송구”유 실장은 검사장 인사안을 문 대통령에게 누가 언제 보고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언론에 인사를 발표하기 전에 정상적으로 승인이 이뤄졌다”면서 “승인이 끝나면 발표를 한다. 그렇게 하고 난 뒤에 전자결재를 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결재는 그 이후에 이뤄졌느냐는 질문에는 “전자결재는 통상 그렇게 한다. 정부의 장·차관 인사가 전부 다 그 프로세스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그건 논란의 포인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국민들에게 지난해 여러 가지 법무·검찰이 피로도를 준 데 이어 또 그렇게 돼 송구하다는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도 했다.
이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인사 갈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추 전 장관은 검찰 인사 과정에서 배제됐다는 윤 총장에게 상관에 대해 항명한다고 비판했고 이후 각종 수사 과정에서 두 차례 수사지휘권을 발동하며 윤 총장에 대한 직무정지와 징계를 추진해 법정 다툼으로 번졌다. 이후 평검사를 비롯한 간부급 검사들의 집단 항명 사태가 이어졌으며 법원은 윤 총장의 직무정지 효력을 중지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일단락했다.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연합뉴스
검찰 간부 인사 발표하자 사의 표명
文 만류 속 나흘간 휴가…文에 거취 일임앞서 검찰 인사를 놓고 박범계 장관과 갈등을 빚으며 사의를 표명한 신현수 수석은 지난 22일 문 대통령에게 자신의 거취를 일임했다.
신 수석은 문 대통령 주재로 열린 티타임에서 이런 뜻을 밝히고 “최선을 다해 직무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고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신 수석이 거취를 일임했으니 확실히 상황이 일단락됐다”면서 “대통령이 고민할 것이고, 이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은 없다”고 밝혔다.
신 수석으로선 사의를 철회하고 잔류를 선택했지만, 문 대통령은 시간을 두고 신 수석의 거취를 판단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 수석의 사의 표명을 두고 억측과 잡음이 불거지면서 문 대통령의 리더십에 상처가 난 상태다.
앞서 신 수석은 지난 7일 박 장관이 자신과 충분한 사전 조율 없이 검찰 간부 인사를 전격 발표한 데 대해 반발해 여러 차례 사의를 표했고, 문 대통령은 이를 반려해왔다.
사의를 고수해온 신 수석은 지난 18일부터 나흘간의 휴가를 갖고 거취를 숙고했고, 이 과정에서 청와대를 비롯한 여권의 주요 인사들이 신 수석을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신 수석이 휴가 중에 검찰 인사안 조율에 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신 수석은 거취를 일임한 상태에서 정상 직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신 수석이 박 장관의 감찰을 요구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신 수석의 입으로 ‘감찰을 건의한 적이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한편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전날 ‘민정수석 패싱’ 논란 이후 사의를 표명했던 신 수석이 문 대통령에게 거취를 일임해 복귀하자 “박범계 장관의 요구대로 ‘우리편’에 서기로 해서 투항한 것은 아닌지 대단히 의아스럽다”고 비판했다.
주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진퇴를 머뭇거리다가 망신당한 사람을 많이 봤다”면서 “모든 공직자는 헌법과 국민에 충성하면서 불의와 불법 방지에 직을 걸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사퇴파동으로 대통령 리더십이 크게 손상되고 국정 불신을 초래한 점에 대한 해명이나 사과 없이 애매하고 어정쩡하게 넘어가려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