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째째한 성과급’ 논란이지만…‘통큰 보너스’ 결정한 네이버·카카오
한재희 기자
수정 2021-02-08 22:45
입력 2021-02-08 18:21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24일 오전 ‘커넥트 2021’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네이버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1/24/SSI_20201124114822.jpg)
네이버 제공
카카오는 8일 전체 임직원들에게 10주씩 상여금 명목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개인당 455만원 상당이다. 지급 대상은 2619명으로 총 규모는 119억원에 달한다. 카카오가 전직원에게 자사주를 상여금으로 나눠주는 것은 창사 이래 처음이다. 회사 관계자는 “자사주 지급은 이달 중순쯤에 나가는 현금 성과급과는 별도”라면서 “자사주를 지급해 임직원들이 회사와 같이 성장할 수 있단 동기부여를 만들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최근 소속 임원 90명에게 총 8820주(31억원) 상당의 자사주를 성과급 일부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2019년 2월부터는 매년 전직원에게 1000만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나눠주고 있다. 특히 2019년 지급했던 스톡옵션은 오는 27일부터 행사할 수 있는데 당시 12만 8900원에 인당 77주를 받았다. 현재 네이버 주가가 36만원을 상회하는 점을 고려하면 인당 차익은 1800만원에 달할 전망이다. 네이버도 개인별 업무 실적에 따른 현금 성과급은 별도로 지급하고 있다.
![조수용(왼쪽),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가 18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1/19/SSI_20201119022213.jpg)
카카오 제공
앞서 SK하이닉스와 SK텔레콤은 지난해 ‘언택트 수혜’를 보면서 실적이 좋았는데도 예상보다 성과급이 적다는 이유로 직원들로부터 ‘뭇매’를 맞았다. 연봉의 20%가량의 성과급을 책정했던 SK하이닉스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연봉을 반납하겠다고 달랬지만 논란이 계속됐다. 결국 중앙노사위원회를 열어 내년부터 성과급 산정을 영업이익과 연동하기로 했고, 임직원들이 우리사주를 매입할 때 연봉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혜택으로 제공하기로 하면서 사태를 진정시켰다. SK텔레콤도 성과급을 주식으로 받을 수 있지만 그 액수가 기대에 못 미쳤다는 이유로 노조가 사측에 문제를 제기한 상태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