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1억 배상’ 판결... 日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종합)
임효진 기자
수정 2021-01-08 18:12
입력 2021-01-08 18:12

이날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4부(김정곤 부장판사)는 고(故) 배춘희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12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들에게 1인당 1억원을 지급하라”고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앞서 위안부 피해자들은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국 법원에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여러 차례 냈지만, 판결이 선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지난 2013년 8월 원고들이 일본 정부에 1인당 1억원 배상금을 요구하는 조정 신청을 법원에 낸 지 약 7년 5개월 만이다.
그간 일본 정부는 국가면제(주권면제) 원칙을 내세워 소송 참여를 거부한 채 원고 측 주장을 각하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국가면제는 ‘한 국가의 법원이 다른 국가를 소송 당사자로 삼아 재판할 수 없다’는 것으로 국제사회에서 널리 통용된 원칙이다.
그러나 재판부는 해당 사안이 국가 차원의 반인도적 범죄 행위라는 점에서 한국 법원에서 재판할 권리가 있다고 인정했다.
재판부는 “일본 제국에 의해 계획적·조직적으로 광범위하게 자행된 반인도적 범죄행위”라며 “국가의 주권적 행위라고 해도 국가면제를 적용할 수 없고, 예외적으로 대한민국 법원에 피고에 대한 재판권이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다른 일제 강점기 피해자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유사한 소송을 제기할 길이 열렸다.

오는 13일 같은 취지 소송의 1심 판결을 앞둔 이용수 할머니는 “살다 보니 이런 일도 있네요. 너무 좋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날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일본 관방장관은 정례기자회견에서 “이런 판결이 나온 것은 매우 유감”이라며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가토 관방장관은 “한국이 국가로서 국제법 위반을 시정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강구하도록 강하게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주권면제 원칙에 따라 한국의 재판권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1심 패소에 항소할 생각도 없다고 했다.
일본 정부가 항소하지 않고 판결이 확정될 경우, 법원이 국내 일본 정부 자산의 강제집행을 시도하면서 한일갈등이 최고조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날 외교부는 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부는 법원의 판단을 존중하며,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기 위하여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동 판결이 외교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검토해 한일 양국 간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이 계속될 수 있도록 제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