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 데이에 뜬 블루문” 파란색이 아니다?

임효진 기자
수정 2020-10-31 21:01
입력 2020-10-31 21:01
핼러윈데이(Halloweenday)인 31일 오후 울산 태화강 상공에서 19년 만에 뜬 ‘핼러윈 블루문’ 주위로 떼까마귀가 비행하고 있다. 2020.10.31/뉴스1
핼러윈데이(Halloweenday)인 31일 오후 울산 태화강 상공에서 19년 만에 뜬 ‘핼러윈 블루문’ 주위로 떼까마귀가 비행하고 있다. 2020.10.31/뉴스1
핼러윈 데이인 31일 밤 태화강 상공에 ‘블루문’이 뜬 모습이 포착됐다.

국립과천과학관에 따르면, 보름달은 한 계절에 보통 세 번 뜨지만 종종 네 번 뜰 때가 있다. 이 때 세 번째 뜨는 보름달이 블루문이다.

블루문은 평균적으로 2년 8개월마다 발생하며, 핼러윈에 블루문이 관측되는 것은 19년마다 일어난다. 다음 핼러윈에 블루문이 뜨는 날은 2039년 10월31일이다.


‘블루문’의 어원은 한 달에 한 번 보름달이 떠야 하는데 추가로 떠서 ‘belewe moon’(배신자들)으로 불리던 것이 ‘blue moon’으로 바뀐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달 자체가 푸른색을 띠는 것은 아니다. 산불이나 화산 폭발로 발생한 먼지에 의해 빛이 산란하면 푸르게 보이기도 한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