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콕 쇼핑’도 양극화… 농축수산물 늘고 문화·여행 급감

나상현 기자
수정 2020-05-07 02:00
입력 2020-05-06 22:42

3월 온라인 쇼핑 총거래액 11.8% 증가… 개소세 인하에 車·부품 구매도 98%↑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콕’(외출 없이 집에만 머무는 생활) 인구가 늘면서 온라인 쇼핑을 통한 농축수산물과 음식서비스 거래가 급격히 늘었다. 반면 문화와 여행 등 서비스업종 거래는 급감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총거래액은 12조 5825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8%(1조 3233억원) 증가했다. 2017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지난해 11월(12조 8521억원)과 12월(12조 6847억원)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온라인 쇼핑 가운데 모바일을 이용한 거래 비중도 지난해 3월 63.1%에서 올해 67.3%로 늘었다.

품목별로 보면 코로나19 사태와 연관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사람들이 외식 대신 집에서 식사를 하면서 농축수산물(91.8%), 음식서비스(75.8%), 음·식료품(59.4%) 거래가 지난해와 비교해 큰 폭으로 늘었다.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등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진작책도 유효해 자동차와 자동차용품에 대한 온라인 거래액은 98.6%나 급증했다. 이 외에도 생활용품(46.9%), 가구(42.6%), 애완용품(28.0%)등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품목 위주로 거래액이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문화·레저 서비스는 88.9%, 여행·교통 서비스는 73.4% 감소했다.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내수 소비가 줄어든 탓이다. 패션용품·액세서리(-12.1%), 의복(-4.8%), 가방(-4.3%), 화장품(-3.9%)도 비슷한 이유로 감소세를 보였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05-07 20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