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정체성 떠나 나라 지키는 군인으로 남고 싶어… 끝까지 싸울 것”

김정화 기자
수정 2020-01-23 09:32
입력 2020-01-22 22:24

얼굴·실명 공개한 변희수 하사

“10대부터 꿈꿔… 부사관 특성화고 진학”
육군, 소속여단 “복무적합” 의견도 외면


‘눈물의 경례’
‘눈물의 경례’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힌 뒤 눈물을 흘리며 경례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눈물의 호소’
최근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눈물 흘리며 경례하는 변희수 부사관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힌 뒤 눈물을 흘리며 경례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수정본] 찡그린 변희수 하사 “부당한 전역 처분에 행정 소송할 것”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A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육군은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부사관 A하사에 대해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이날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뉴스1
굳은 표정으로 회견장 나서는 변희수 하사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변희수 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마친 후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육군은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부사관 변 하사에 대해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이날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뉴스1
기자회견 참석한 변희수 부사관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통일! 제 이름은 6군단 5기갑여단 하사 변, 희, 수입니다. 군으로 돌아가는 그날까지 싸우겠습니다.” 국군 창설 이래 처음으로 복무 중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받은 트랜스젠더 군인 변희수(22) 육군 하사의 울음 섞인 목소리는 내내 가늘게 떨렸다. 22일 육군은 강제 전역 결정을 내렸지만, 변 하사는 “성정체성을 떠나 최전방에서 나라를 지키는 군인으로 남고 싶다”고 말했다.

이날 시민단체 군인권센터가 연 기자회견에 군복을 입고 참석한 변 하사는 얼굴과 실명, 소속을 공개했다. 그는 복받치는 서러움을 겨우 참아내면서도 “모든 성소수자 군인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에서 각자 임무를 수행하면 좋겠다”며 꿋꿋이 소신을 밝혔다.


변 하사는 어릴 때부터 간절히 군인을 꿈꿨다. 그는 “10대 시절 독도 문제 관련 일본 규탄 집회, 북한 인권 집회에 참석하면서 조국을 위해 희생하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고 말했다. 집 근처 인문계고 진학을 거부하고 전남 장성의 부사관 특성화고를 선택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은 늘 어지러웠다. 머리로는 여성이라고 느끼지만, 신체는 남성인 자신의 성정체성 때문이다. 복무 이후 줄곧 극심한 우울증과 스트레스를 겪으며 폐쇄병동을 쓸 정도로 증세가 심각했던 변 하사는 결국 호르몬 치료를 받으며 수술을 결심했다. 변 하사는 “2018년 4월부터 국군수도병원에서 치료와 상담을 받으면서 ‘마음에 있던 짐을 쌓아 두지 말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라’는 조언을 들었다”면서 “계속 억눌러 둔 마음을 똑바로 마주 보고, 성별 정정 과정을 거치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군은 그러나 여군으로 끝까지 복무하고 싶다는 그의 희망을 산산조각 냈다. 변 하사는 “전역심사위 결정 이후 주임원사가 전화해 ‘지켜 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하더라”라면서 “소속 여단에서도 제가 계속 복무하는 게 적합하다는 답변까지 올린 것으로 안다. 그런데도 육군 본부는 성전환자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히 신체 훼손 기준으로만 전역 심사를 했다”고 말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0-01-23 2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