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밤새 이사, 루브르 711번 방→갤러리 메디치 딱 100 걸음
임병선 기자
수정 2019-07-17 07:41
입력 2019-07-17 06:50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그런데 16일(이하 현지시간) 밤 사이 메디치 갤러리란 다른 방으로 옮겨져 다음날부터 10월까지 일반에 공개된다. 루브르는 지난 5년 동안 3만 4000㎡ 이상을 리노베이션했고 이 가운데 갤러리 면적만 1만 7579㎡였으며 이제 스테이트 룸 순서가 돼 모나리자의 미소를 옮기게 됐다고 영국 BBC가 전했다.
사실 이 방에서의 작업은 지난 1월부터 시작됐다. 하지만 모나리자 주변에서만 작업을 진행해오다 이제 벽에서 이 명작을 떼내 옮겼다. 같은 방에 있던 베로네세(Veronese)의 ‘카나에서의 결혼 피로연’ 같은 작품들은 보호 케이스에 들어간 채로 남아 있는다. 모나리자가 옮겨간 갤러리 메디치는 이 박물관에서 가장 큰 방 가운데 하나다.
이 명작을 옮기는 일은 힘들까? 결론부터 말하면 “어렵지만 다른 작품들보다 현저히 어려운 일은 아니다.” 옥스퍼드 대학의 박물관장인 카트리오나 피어슨은 “작품의 가치와 상관없이 늘 위험은 따른다. 우리는 비슷한 식으로 많은 작품을 옮겼는데 말하자면 아주아주아주 조심히 움직인다”고 말했다.
직원들은 얼마나 움직여야 하는지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인원 숫자도 가능한 최소한으로 하려 한다. 당연히 많이 움직일수록 위험은 커지기 때문이다. 장 룩 마르티네스 루브르 관장은 AFP통신에 “갤러리 메디치와는 100 걸음”이라고 밝혔다.
저녁에 모든 관람객이 빠져나간 뒤 직원들은 명작과 똑같은 크기의 목재 케이스를 먼저 옮겨본다. 몇 걸음이나 떼야 하는지 살피며 회전 각도나 주의할 점을 짚어보는 것이다.
이번처럼 박물관 안 다른 방으로 이사 가는 것은 단순하지만 해외로 떠나면 완전히 얘기가 달라진다. 계획을 세우는 데만 1년이 걸린다. 모나리자 역시 1974년 러시아와 일본, 1963년 미국 워싱턴과 뉴욕을 찾았다. 1962년 앙드레 말로 프랑스 문화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재키 케네디 여사가 미국인들도 모나리자를 볼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자 들어준 것이었다. 말로는 고개를 끄덕였으나 대서양을 건너다 훼손될 것을 우려한 반대 목소리가 높았다.
AFP 자료사진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