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탄두 60% 1차 폐기 목표… 先종전선언 요구에 美와 충돌”

김진아 기자
수정 2018-08-28 21:56
입력 2018-08-28 17:42
국회 정보위 국정원 업무보고

국회사진기자단
국회 정보위원회가 28일 국정원 업무보고를 받은 결과 서훈 원장이 이렇게 밝혔다고 더불어민주당 정보위 간사인 김민기 의원이 밝혔다. 김 의원은 “북한은 선(先) 종전선언 채택을 요구했고 미국은 (북한의) 선 비핵화 리스트 제출을 요구하면서 충돌했기 때문에 못 간 것으로 국정원은 판단했다고 서 원장이 답변했다”고 전했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23일(현지시간) 방북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이튿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전격 취소하면서 북·미 대화는 교착 상태에 빠졌다.
9월 중 평양에서 열기로 한 3차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날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국정원은 보고했다.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역할을 묻는 정보위원들의 질문에 서 원장은 “비핵화를 촉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촉구’의 의미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서 원장은 “결국은 북핵 폐기에 있어 북·미 관계의 중재자·촉진자가 아니라 미국과 우리가 당사자로 나서야 한다”고 답했다.
‘비핵화’의 의미에 대해 서 원장은 북한의 핵탄두 전체 폐기가 목표이지만, 1차적으로는 60% 정도 폐기로 본다는 취지를 밝혔다. 자유한국당 정보위 간사인 이은재 의원은 “서 원장은 (최종적으로) 핵탄두 100개가 있으면 100개 다 폐기해야 한다고 했다”며 “1차적 목표가 100개 중 60개를 제거하는 것이냐고 물었더니 ‘그 정도다’라고 했다”고 전했다.
유엔 제재 위반 논란을 빚은 북한산 석탄 수입 문제와 관련, 국정원은 지난해 10월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서 원장은 “안보실 보고로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갈음했다”고 답했고,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국정원은 또한 남북연락사무소는 유엔 제재 사항이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서 원장은 “남북연락사무소는 상시적으로 연락을 하는 곳이고, 비핵화를 위한 소통에 도움이 된다”며 “20~30명의 인원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다음달 9일 정권 수립 70주년(9·9절)을 맞아 북한은 집단체조를 5년 만에 재개했고 하루 2만명을 동원해 평양 5·1 경기장 주변에서 예행연습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8-08-29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