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일본군 성노예)를 학살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영상이 최초로 공개됐다.
서울시, 서울대 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 제공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는 3·1절 99주년을 기념해 27일 개최한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일본군의 조선인 위안부 학살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을 촬영한 날짜는 텅충 함락 다음 날인 1944년 9월 15일로 함락 당시 연합군에 포로로 잡혀 생존한 23명을 제외한 조선인 위안부 대부분은 일본군이 학살한 것으로 추정된다.
19초 분량의 이 영상은 아시아·태평양 전쟁 패전 직전인 1944년 9월 중국 윈난성 텅충에서 미·중 연합군이 찍은 것으로 조선인 위안부들이 일본군에 의해 학살된 후 한꺼번에 버려진 참혹한 모습을 담고 있다. 시신을 매장하러 온 것으로 보이는 중국군 병사가 시신의 양말을 벗기는 장면도 포착됐다.
이는 미·중 연합군의 문서에 “1944년 9월 13일 밤 일본군이 조선인 여성 30명을 총살했다.(Night of the 13th the Japs shot 30 Korean girls in the city)”라고 적힌 내용을 뒷받침하는 영상기록이다.
일본군이 위안부를 학살했다는 증언, 기사 등이 공개된 적은 있지만 학살 현장을 담은 영상이 세상 밖으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 연구팀은 2016년 발굴한 위안부 학살 현장 사진과 같은 곳에서 촬영된 것으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전쟁 당시 미군 사진부대의 사진·영상 촬영 담당 병사가 2인 1조로 움직였다는 점에 주목해 영상을 추적했다. 사진이 있으니 반드시 같은 장소에서 찍은 영상도 있을 것이라고 보고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보관된 자료를 뒤져 조각조각 끊어진 필름더미 수백 통을 일일이 확인했다.
미·중 연합군은 1944년 6월부터 중국-미얀마 접경지대인 윈난성 쑹산과 텅충의 일본군 점령지에 대한 공격을 개시했다. 같은 해 9월 7일 쑹산을, 일주일 뒤인 14일엔 텅충을 함락했다.당시 이곳엔 일본군에 끌려온 조선인 위안부 70∼80명이 있었다.
서울대 인권센터 정진성 교수 연구팀은 패전이 임박하자 당시 일본 작전참모였던 츠지 마사노부가 쑹산·텅충 주둔 일본군에게 사실상의 ‘옥쇄(강제적 집단자결)’ 명령을 내렸고 이를 거부한 조선인 위안부들이 일부 민간인과 함께 학살당했다고 밝혔다.
이런 일본군의 위안부 학살은 연합군도 인지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앞서 텅충이 함락되기 직전인 1944년 9월 13일 밤 일본군이 조선인 여성 30명을 총살했다고 기록한 연합군 정보 문서를 발굴해 공개한 바 있다.
연구팀 소속의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는 “일본 정부가 일본군의 위안부 학살을 부정하는 상황에서 전쟁 말기 조선인 위안부가 처했던 상황과 실태를 보여주는 자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1/6
1944년 중국 등충서 학살된 위안부 서울시가 3.1절 99주년을 기념해 27일 개최한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학살했음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다고 27일 전했다. 사진은 1944년 9월 15일 미국 사진병 프랭크 맨워렌이 등충에서 촬영한 조선인 위안부가 학살된 모습. 서울시·서울대 인권센터 제공=연합뉴스
1944년 학살된 위안부 서울시가 3.1절 99주년을 기념해 27일 개최한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학살했음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다고 27일 전했다. 사진은 1944년 9월 15일 미국 사진병 프랭크 맨워렌이 등충에서 촬영한 조선인 위안부가 학살된 모습. 서울시·서울대 인권센터 제공=연합뉴스
1944년 위안부 학살 현장의 중국군 서울시가 3.1절 99주년을 기념해 27일 개최한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학살했음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다고 27일 전했다. 사진은 1944년 9월 15일 미국 사진병 프랭크 맨워렌이 등충에서 촬영한 조선인 위안부가 학살된 모습(위)과 영상 속 중국 병사(붉은 원)가 시체의 양말을 벗기는 모습. 사진에 등장하는 중국병사와 동일하다. 서울시·서울대 인권센터 제공=연합뉴스
송산 위안소 사진 보는 고 박영심 할머니 서울시가 3.1절 99주년을 기념해 27일 개최한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학살했음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다고 27일 전했다. 사진은 고(故) 박영심 할머니가 송산 위안소에서 촬영된 사진을 살펴보는 모습. 서울시·서울대 인권센터 제공=연합뉴스
조선인 ’위안부’ 학살 영상 최초 공개 27일 오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3·1절 99주년 한·중· 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가 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학살했음을 보여주는 영상을 최초 공개하는 등 서울대 인권센터의 자료수집 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인 ’위안부’ 학살 영상 최초 공개 27일 오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3·1절 99주년 한·중· 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콘퍼런스’에서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가 일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학살했음을 보여주는 영상을 최초 공개하는 등 서울대 인권센터의 자료수집 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진성 서울대 교수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증언 이후 세계 이곳저곳에서 깊이 묻힌 자료들이 발굴되고 있다. 이 자료들이 할머니들의 증언과 놀랍도록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의 위안부 자료 발굴을 2016년부터 지원해온 서울시는 “전시에 여성을 전쟁터로 동원하고 성적 위안의 도구로 사용하다 학살하는 일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 일본은 이를 부정할 것이 아니라 인정하고 사과해야만 반복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