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대륙별 생산기지 확대… “글로벌 입맛 잡는다”
![김희리 기자](https://img.seoul.co.kr/img/n24/writer/s_2013047.png)
김희리 기자
수정 2017-01-23 00:09
입력 2017-01-22 22:44
비비고 왕교자, 작년 美매출 1000억원·시장점유율 1위
지난 20일 인천 중구에 있는 CJ제일제당 냉동식품공장. ‘비비고 왕교자’ 라인에서는 손질을 거친 재료를 만두소로 만드는 혼합 작업이 한창이었다. 혼합기가 재료의 온도를 10도로 유지하며 세 차례에 걸쳐 약 10분 동안 팬을 회전시켜 원료를 고루 섞었다. 채소, 돼지고기 등 만두소에 들어가는 재료들은 지름 약 2㎝ 내외의 크기로 ‘깍둑썰기’ 돼 있었다.조철민 CJ제일제당 인천 냉동식품공장장은 “재료를 전부 갈던 과거와 달리 만두의 씹는 맛을 높인 게 왕교자의 차별점”이라고 설명했다. 혼합 과정도 재료가 부서지지 않도록 팬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게 관건이다.
![20일 인천의 CJ제일제당 냉동식품공장에서 직원들이 ‘비비고 왕교자’ 만두에 들어갈 부추를 손질하고 있다. CJ제일제당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22/SSI_20170122184217.jpg)
CJ제일제당 제공
![20일 성형기에서 빚어진 만두가 증숙 과정을 위해 찜통기로 옮겨지고 있다. CJ제일제당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1/22/SSI_20170122184241.jpg)
CJ제일제당 제공
이렇게 만들어진 만두소는 밀가루, 전분, 염수 등을 섞은 반죽을 3000번 이상 치대 만들어진 만두피와 만나 성형기에서 만두의 형태를 갖춘다.
성형기 6대에서는 각각 1분당 약 70개의 만두가 빚어진다. 이후 약 10분 동안 99도의 찜통기에서 미생물을 없애는 ‘증숙’ 과정과 영하 40도 동결기의 ‘급속냉동’ 과정을 차례로 거친다. 다음엔 ‘전자 맛 감별기’를 통해 맛 품질을 검증받은 뒤 포장된다. 이런 방식으로 1개에 35g인 왕교자 만두가 하루 평균 약 100t이 생산된다.
2013년 출시된 비비고 왕교자는 지난해 매출 1600억원을 돌파해 시장 점유율이 40.3%로 올랐다. 2020년까지 만두 매출 1조원을 달성하는 게 목표다. 이 중 70%를 해외 시장에서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獨·베트남 등 생산거점 확보 계획
강신호 식품사업부문장은 “미국시장에서 지난해 연매출 1000억원을 달성해 시장점유율 11.3%로 1위에 올랐고 중국에서도 지난해 23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면서 “독일·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넓히고 대륙별 생산거점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말 베트남 냉동식품업체 ‘까우제’를 인수한 데 이어 최근 러시아 만두업체 ‘펠메니’를 사들였다. 독일에서도 최근 비비고 만두를 출시했다. 중국 베이징 인근 요성에도 올해 신규 공장을 지을 예정이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1-23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