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시간 긴 직장 여성, 우울증 위험 커진다…남성은? (연구)
수정 2019-02-26 13:37
입력 2019-02-26 13:37
직장에서 오랜 시간 일하는 여성은 우울증에 걸리기 쉽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의 길 웨스턴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이 2009년 이후로 추적된 영국 성인남녀 2만3000여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위와같은 결과를 영국의학회지(BMJ) 그룹이 발행하는 학술지 ‘역학·공동체 건강저널’(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주 55시간 이상 일하는 여성들은 주 35~40시간 일하는 여성들보다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더 컸다. 그 차이는 평균 7.3%로, 우울증에 걸린 여성들은 자신이 가치가 없거나 무능하다고 느끼기도 했다. 남성들의 경우 전반적으로 오랜 시간 일해도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은 크지 않았다.
반면 주말 근무는 남녀 모두 우울증 위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 내내 또는 대부분 시간을 일한 여성들은 평일에만 일하는 여성들보다 평균 4.6% 더 우울증을 겪었다. 남성들의 경우 이 수치는 3.4%였다.
이런 남녀 격차에 대해 연구진은 여성들은 퇴근하더라도 집안일을 해야한다는 부담감을 떠안게 되는 경우가 많은 데 그 점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웨스턴 박사는 “이번 연구만으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수는 없지만, 실제로 많은 여성은 남성들보다 더 많은 가사노동을 해야하는 추가적인 부담감을 안고 있으며 이 때문에 총 노동 시간이 늘어나고 시간 압박감을 받으며 엄청난 책임감을 떠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우리는 이번 결과가 고용주들과 정책결정자들로 하여금 오래 일하거나 시간이 불규칙하게 일하는 여성들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이들 여성이 원하는 때에 일할 수 있도록 능력을 제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더 공감이 가는 근로 관행은 근로자와 고용주는 물론 더 나아가 남녀 모두에게 혜택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또 집에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들은 미혼인 여성들보다 오랜 시간 일하는 경향이 있지만, 기혼 남성들은 미혼인 남성들보다 사무실에서 야근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성의 경우 4명 중 1명도 안 됐지만, 남성의 경우 거의 절반이 일주일에 40시간 이상 일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여성은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은 거의 절반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남성은 7명 중 1명만이 파트타임 근로자였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오랜 시간 일하는 여성들 사이에서 우울 증상이 나타난다는 이번 결과는 장시간 유급 노동이 가사 노동에 더해질 때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잠재적인 이중 부담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은 일단 무급 가사노동과 육아가 설명되면 여성들은 평균적으로 남성들보다 더 오래 일하며 이 때문에 더 나쁜 신체 건강과 관련이 있다고 봤다”면서 “이번 결과는 고용주와 정책입안자들이 노동력에 관한 여성의 완전한 참여를 제한하지 않고, 정신적인 근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개입을 고려하도록 장려한다”고 말했다.
사진=123rf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의 길 웨스턴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이 2009년 이후로 추적된 영국 성인남녀 2만3000여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위와같은 결과를 영국의학회지(BMJ) 그룹이 발행하는 학술지 ‘역학·공동체 건강저널’(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주 55시간 이상 일하는 여성들은 주 35~40시간 일하는 여성들보다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더 컸다. 그 차이는 평균 7.3%로, 우울증에 걸린 여성들은 자신이 가치가 없거나 무능하다고 느끼기도 했다. 남성들의 경우 전반적으로 오랜 시간 일해도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은 크지 않았다.
반면 주말 근무는 남녀 모두 우울증 위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 내내 또는 대부분 시간을 일한 여성들은 평일에만 일하는 여성들보다 평균 4.6% 더 우울증을 겪었다. 남성들의 경우 이 수치는 3.4%였다.
이런 남녀 격차에 대해 연구진은 여성들은 퇴근하더라도 집안일을 해야한다는 부담감을 떠안게 되는 경우가 많은 데 그 점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웨스턴 박사는 “이번 연구만으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수는 없지만, 실제로 많은 여성은 남성들보다 더 많은 가사노동을 해야하는 추가적인 부담감을 안고 있으며 이 때문에 총 노동 시간이 늘어나고 시간 압박감을 받으며 엄청난 책임감을 떠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우리는 이번 결과가 고용주들과 정책결정자들로 하여금 오래 일하거나 시간이 불규칙하게 일하는 여성들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이들 여성이 원하는 때에 일할 수 있도록 능력을 제한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더 공감이 가는 근로 관행은 근로자와 고용주는 물론 더 나아가 남녀 모두에게 혜택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또 집에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들은 미혼인 여성들보다 오랜 시간 일하는 경향이 있지만, 기혼 남성들은 미혼인 남성들보다 사무실에서 야근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여성의 경우 4명 중 1명도 안 됐지만, 남성의 경우 거의 절반이 일주일에 40시간 이상 일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여성은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은 거의 절반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남성은 7명 중 1명만이 파트타임 근로자였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오랜 시간 일하는 여성들 사이에서 우울 증상이 나타난다는 이번 결과는 장시간 유급 노동이 가사 노동에 더해질 때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잠재적인 이중 부담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은 일단 무급 가사노동과 육아가 설명되면 여성들은 평균적으로 남성들보다 더 오래 일하며 이 때문에 더 나쁜 신체 건강과 관련이 있다고 봤다”면서 “이번 결과는 고용주와 정책입안자들이 노동력에 관한 여성의 완전한 참여를 제한하지 않고, 정신적인 근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개입을 고려하도록 장려한다”고 말했다.
사진=123rf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