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NHK 등은 하마다 방위상의 이날 각의(국무회의) 후 이 같은 발언을 일제히 전했다.
한국 정부는 ‘이스턴 엔데버 23’이라고 이름 붙여진 다국적 해양 차단 훈련을 오는 31일 제주 동남방 공해상에서 개최한다. 이 훈련에는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25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훈련에 일본 군함 참여 가능성에 대해 “자위대 함기를 달고 들어올지 안들어올지 지금 말씀드릴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자위함기를 달고 입항하는 것은 통상적 국제관례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욱일기(旭日旗)란 일장기의 태양 문양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햇살을 형상화한 군기로 1870년부터 육군 군기로 사용했다. 일본이 태평양전쟁 등 아시아 각국을 침략할 때 전면에 내걸면서 일본 군국주의와 제국주의를 상징하는 전범기로 통한다. 그러나 일본은 1954년 자위대 발족에 따라 육상자위대는 ‘자위대기’로, 해상자위대에는 ‘자위함기’로 욱일기를 정식 채택하며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 11월 한국 해군 주최 국제관함식에 해상자위대도 초청됐지만 욱일기 게양 논란으로 결국 해상자위대 함정은 참가하지 않았다.
특히 일본의 한 자위대 간부는 “욱일기 등 각국군의 깃발을 게양하는 것이 국제 상식이다. 한국이 올바른 방향으로 돌아왔다”는 환영 입장을 밝혔다.
이날 일본 지지통신은 전날 한국 국방부 대변인이 욱일기 게양에 대해 “통상적 국제관례”라고 하자 자위대 간부가 이 같이 환영했다고 보도했다.
또 문재인 정부가 욱일기를 일본 군국주의 상징으로 간주하고, 게양 자제를 촉구한 사례를 들어 “이번 해양자위대 호위함이 욱일기를 내걸고 한국에 입항하기로 한 것은 일한(한일) 관계 개선 움직임을 감안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윤창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