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로의 아침] 조성룡과 청주 남석교와 고향기부제/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업데이트 2023-03-17 01:26
입력 2023-03-17 01:26
이미지 확대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1995년으로 기억한다. 당시 광복 50주년을 맞아 서울 광화문의 중앙청 처리 문제가 뜨거운 관심사였다. 해체가 대세인 가운데 충북대 교수(로 기억되는 이)가 중앙청을 땅밑으로 내리자는 제안을 내놨다. 그리고 그 위를 강화유리로 덮자고 했다. 이 제안은 그러나 아무 관심도 끌지 못하고 묻혔다.

세월이 흘러 충북 청주 남석교가 세상에 드러났을 때도 비슷했다. 남석교는 육거리시장 아래 묻혀 있는 국보‘급’의 돌다리다. 고문서 등에서 존재만 확인되다, 2005년 청주대 학술조사를 통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남석교의 길이는 80.85m. 당시 가장 긴 돌다리였던 서울 한양대 앞 살곶이 다리의 70m 기록을 단숨에 갈아치웠다.

이후 복원 논란이 이어지는 와중에 옛 중앙청처럼 육거리시장 아래 두되 그 위를 강화유리로 덮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이 제안도 현실성이 없다며 흐지부지됐다. 현재는 복원 논의가 쏙 들어간 상태다. 남석교 위의 육거리시장은 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시장 중 하나다.

한국전쟁 이후의 역사가 켜켜이 쌓였다. 남석교를 복원하려면 그 위의 또 다른 근대문화재를 해체해야 한다. 보통 딜레마가 아니다. 게다가 천문학적 재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문득 남석교 복원을 주제로 국제설계경기 같은 이벤트를 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다. 지역 사회에서 범위를 넓혀 집단 지성의 도움을 받자는 거다. 재원 조달엔 올해부터 시행 중인 ‘고향기부제’가 도움이 될 듯하다.

현재의 고향기부제는 목적이 다소 불분명하다. 출향 인사들에게 고향을 생각하며 기부를 하라는 건데, 취지는 좋지만 출향민의 마음을 움직이기엔 동기부여가 약해 보인다. 남석교 복원을 위한 재정 마련을 목표로 내걸면 어떨까.

목적이 분명한 기부라면 장삼이사들이 얇은 지갑을 기꺼이 열지 않을까. 청주 시민을 넘어 국민의 십시일반이 모이면 국비를 다루는 위정자들의 마음도 흔들릴 터다.

자, 이제 산만하게 날아다니는 논의를 하나로 정리해 보자. 국제 설계경기 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조성룡 전 성균관대 교수다. 국제 설계 공모전에서 가장 많은 수상 기록을 세웠다는 이다. 서울 송파 아시아선수촌아파트, SOMA미술관, 한강 선유도공원, 광주 의재미술관 등의 건축물이 그와 그가 속한 집단 지성의 손을 통해 세상에 나왔다.

한데 최근 전해진 그의 근황은 참 안타깝다. 서울 잠실 5지구의 재건축설계 우선협상자 지위를 재확인하는 판결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가 잠실 5단지 국제 설계공모전에서 1위를 한 게 2018년이다. 상식을 상식의 자리에 앉히는 데만 5년의 시간이 소모된 셈이다. 앞으로도 순탄할 거란 보장은 전혀 없다. 국내 건축계의 현실이 드러난 안타까운 사례다.

우리 국민이 의기소침해할 때가 있다. 스포츠 한일전에서 졌을 때, 노벨상이나 ‘건축의 노벨상’이라는 프리츠커상이 발표될 때다. 번번이 일본의 벽을 넘지 못해 시무룩해진다. 며칠 전 프리츠커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국내 한 기업의 사옥을 설계한 영국 건축가가 받았는데, 정작 우리는 여태 프리츠커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건축계에선 프리츠커상이 건축가에게만 주는 상이 아니라며 볼멘소리다. 건축가가 대표로 상을 받을 뿐, 건축가와 건물 조성에 힘이 되어 준 사회 구성원과 그들의 가치관에 존경을 표시하는 것이란 얘기다. 국제설계공모를 해놓고도 결과를 인정하지 않거나 뒤집는 게 우리 건축계의 현실이고 보면 프리츠커상 수상은 아직 요원해 보인다.

손원천 문화체육부 선임기자
2023-03-17 25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