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리아 반도서 출토된 청동기 시대 부엉이 명판
기존 신이나 망자를 기리기 위한 의례적 의미로 해석
아이들이 만들거나 장난감용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재해석
스페인 도냐나 생물학연구센터 진화생태학과, 국립자연과학박물관, 우엘바대 실험과학부, 마드리드 콤푸리텐세대 지리·역사학부 공동 연구팀은 약 5000년 전 청동기 시대 현재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있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발굴된 올빼미 모양의 석판은 장인이 만든 것이 아닌 어린이가, 어린이를 위한 장난감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3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12월 2일자에 실렸다.
5500년에서 4750년 사이에 이베리아 반도 전역의 무덤과 유적지에서 약 4000개의 슬레이트 부엉이 명판이 발견됐다. 처음 학자들은 부엉이 명판이 의례적인 의미를 지녔으며 신이나 망자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했다. 그렇지만 연구팀은 이런 기존 해석을 재검토하기 위해 부엉이 모양의 명판 전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두 개의 눈, 깃털 뭉치, 무늬가 있는 깃털, 편평한 안면, 부리, 날개 등을 중심으로 부엉이를 표시하는 6개 특성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부엉이 특성 중 몇 개가 표시되는지에 따라 1~6까지 등급을 매겼다. 연구팀은 다시 4~13세 어린이가 요즘 그린 100의 부엉이 그림과 비교해 유사점을 비교했다.
연구를 이끈 도냐나 생물학연구센터 후안 네그로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 유적에서 발굴된 명판들은 대부분 어린이들이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기존 가설처럼 제사 같은 데 활용되기보다는 비실용적, 즉 장난감이나 아이들 선물로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