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신라 길목 ‘남원 아막성’ 국가지정문화재 추진

설정욱 기자
수정 2023-07-11 00:28
입력 2023-07-11 00:28
출토 유물 토대로 승격 신청키로
객관적인 자료 추가 확보에 나서
남원시 제공
10일 전북도와 남원시 등에 따르면 도는 조만간 남원 아막성에서 출토된 신라 유물의 특성과 의미를 토대로 문화재청에 국가지정문화재 승격을 신청할 계획이다. 아막성은 602년과 616년 두 차례 백제와 신라의 큰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백두대간 시루봉(해발 777.7m)에서 북쪽으로 2㎞ 떨어진 곳에 있으며, 백제와 신라를 연결하는 길목을 지킬 수 있는 지정학적 요충지이기도 하다. 특히 가야 세력 멸망 이후 신라의 진출 및 백제·신라의 점유과정을 잘 보여주는 탁월한 유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전북도와 남원시는 지난 2020년부터 이곳에서 발굴조사를 진행, 신라시대 건물지로 추정되는 유구와 유물을 확인했다. 이에 지난해 문화재청에 국가사적 지정을 신청했지만, 문화재청은 주변 유적과의 관계성 및 고고학적 특성과 의미를 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며 보완을 요청했다.
남원시는 객관적인 근거 자료 추가 확보에 나섰다. 발굴조사 등을 통해 아막성의 집수시설과 성벽, 주거지 등이 신라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확인했다. 또 출토유물의 대다수가 삼국사기 등 문헌에 기록된 아막성의 운영 시기와 정확히 일치하는 6세기 중반~7세기 초반의 신라 유물임을 밝혀냈다.
남원시 관계자는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아막성은 7세기 백제와 신라의 최대 격전지로서, 우리나라 고대사 연구의 핵심 주제를 발굴조사로 그 실체가 명확하게 밝혔다는 점에서 학술적 기여도가 매우 높다”면서 “삼국시대에 한 장소에서 전투가 2회 이상 등장한 경우는 지극히 이례적이고, 문헌 기록에 등장하는 성곽 중 위치가 확인된 매우 드문 사례인 아막성을 반드시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원 설정욱 기자
2023-07-11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