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 원장 “목재 이용 활성화는 산림 훼손이 아닙니다”

박승기 기자
수정 2021-02-21 17:18
입력 2021-02-21 17:18
국립산림과학원장 10년만에 내부 승진
탄소중립에서 산림의 다양한 역할 강조
보여주기식 아닌 현장이 원하는 연구물 창출
“목재 이용 활성화는 결코 산림 훼손이 아닙니다. 숲을 건강하게 만들고 탄소 흡수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입니다.”
박 원장은 유일한 산림 분야 연구기관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연구자는 연구에 집중하며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고, 간부들은 결과물을 국민들에게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겠다”며 지난 10년간 관료 출신이 원장으로 임명되면서 흐트러진 조직 재정립 필요성을 에둘러 표현했다. 지난 8일 취임한 박 원장은 산림과학원이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된 2001년 이후 두 번째, 2010년 이후 10년 만에 연구원 출신으로 내부 승진했다. 1994년 연구사로 시작해 원장에 오른 ‘산증인’이다.
그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도시숲과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산림치유처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사구시’ 연구도 강조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나무별 미세먼지 흡수능력이나 기후변화 수종 등 데이터를 공개할 계획이다. 박 원장은 “우수한 연구 결과는 더이상 실험실에서 나오지 않는다”며 “구성원의 70% 이상이 박사일 정도로 개별 능력이 뛰어난 연구원들이 집단지성을 활용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내부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