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은퇴 전에 시간제 같은 가교 직업 가지면 충격 줄어든다”
![윤창수 기자](https://img.seoul.co.kr/img/n24/writer/s_2000040.png)
윤창수 기자
수정 2017-04-30 18:34
입력 2017-04-30 18:32
‘은퇴후에도…’ 펴낸 최재식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
대한민국 최고의 연금전문가 가운데 한 명인 최재식(62)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은 스스로 은퇴변화 관리서라고 이름붙인 ‘은퇴 후에도 나는 더 일하고 싶다’를 펴냈다. 최 이사장은 이미 은퇴를 한 번 경험한 적이 있는 은퇴 전문가이도 하다.![최재식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4/30/SSI_20170430174147.jpg)
그는 완전 퇴직을 하기 전에 가교 직업을 가지면 은퇴 충격을 줄일 수 있다고 소개했다. 현직에 있을 때 일을 시간제나 임금피크를 적용한 재고용제도를 통해 계속하거나, 비영리기관에서 일하는 것을 가교 직업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고 했다. 최 이사장도 1차 은퇴 직후 정부 부처 전문임기제 자리와 대학원 겸임교수로 가교 직업을 가졌다고 털어놓았다. 임용시험 면접에서 젊은 사람 밑에서 같이 일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을 받았지만 문제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특히 가교 직업은 60세에 은퇴하고 65세에 연금을 받게 돼 5년간의 무소득 절벽 기간이 있을 때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최 이사장은 “공무원의 정년이 공무원연금법에 규정된 연금지급 개시 연령의 연장에 맞추어 65세까지 연장될 계획은 현재로서는 없다”고 밝혔다.
2014년 공무원연금 3차 개혁에 기여해 훈장을 받은 그는 “연금개혁은 연금제도의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지 연금을 줄여 푼돈으로 만들려는 것이 아니다”라며 “개혁하더라도 지급률을 소급 조정해 연금 지급액을 줄이는 경우는 없고 앞으로 지급될 연금의 인상 폭을 조정하는 정도에 그친다”고 강조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7-05-01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