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洞에서 부는 민주주의, 區의 품격 바꾸다
김승훈 기자
수정 2017-02-14 18:07
입력 2017-02-14 17:54
금천구의 주민자치 시대
“우리 주민들의 작품으로 마을 담들을 예쁘게 꾸미면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 마을이 한 단계 더 고급스러워질 겁니다.” “결혼식을 올리지 못한 분들을 위해 마을잔치로 식을 올리고 함께 축하해 주면 마을공동체를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금천구가 주민자치·마을민주주의 시대를 열었다. 가장 작은 행정 단위인 동 주민들이 주인이 돼 마을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혁신적인 실험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진정한 의미의 ‘풀뿌리 민주주의’가 동마다 뿌리를 내리고 있다.
마을민주주의 구현의 핵심은 지난해 시작된 ‘마을총회와 동 특성화 사업’이다. 주민들이 행정기관에서 추진하는 사업의 수혜자였던 데서 벗어나 사업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참여자가 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마을총회에서 채택된 아이디어는 동 특성화 사업으로 추진된다.
구는 10개 동당 2500만원씩, 총 2억 50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금천구 관계자는 “골목길을 어떻게 하면 더 좋게 만들 수 있을지, 더 안전한 동네를 만들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지 등 그동안 구청에서 고민했던 사안들을 각 동 주민들이 논의를 거쳐 답을 찾아낸다”고 설명했다.
차성수 금천구청장은 2010년 7월 취임 이후 지난 6년간 ‘주민에게 힘을 줄수록 지역이 발전한다’는 신념 아래 마을민주주의 실현에 공을 들였다. 차 구청장은 “동 단위 자치를 실현할 마을의 모임·단체·공동체에 실질적인 결정 권한을 이양하고 지속 가능한 공동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마을 단위에서 정책결정권과 재정운영권을 갖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거듭된다면 진정한 마을민주주의가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7-02-15 1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