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비 月107만원, 10명중 9명 “부담”
최훈진 기자
수정 2017-02-13 22:49
입력 2017-02-13 22:26
여가부, 육아문화 인식 조사
육아비용 月지출액의 31%용품 대여 이용은 52% 그쳐
출산을 앞두거나 9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 10명 중 9명은 육아 비용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월평균 육아 비용은 전체 소비 지출액의 31%를 차지했다. 하지만 육아용품을 대여하거나 돌려쓴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의 52.8%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또 자녀를 키우며 느끼는 행복감은 소득에 관계없이 높았으나, 양육에 대한 자신감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1.3%에 머물렀다.
여성가족부와 육아정책연구소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6년 육아문화 인식 조사’(육아문화 개선방안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7~12월 수행된 이번 조사는 설문과 심층 면담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출산 계획이 있거나 임신 중 또는 만 9세 이하 자녀를 둔 어머니 1202명이다. 가구당 육아 비용은 월평균 지출액 345만 8000원의 31.0%인 107만 2000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출 항목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돌봄 및 어린이집·유치원 비용(20.9%)이었다. 식료품비·외식비, 사교육비, 저축 및 보험납입금 순으로 뒤를 이었다. 육아 비용 지출이 매우 부담된다는 응답은 33.3%, 조금 부담된다는 56.7%로 전체의 90.0%를 차지했다.
우리 사회 육아 문화가 다분히 과소비적 측면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96.2%로 높았다. 하지만 본인의 육아 비용 지출에 과소비적 측면이 있다고 한 응답자는 43.1%에 불과했다.
친인척이나 동료에게 도서, 유모차, 보행기 등 육아용품을 물려받은 경험이 있는 비율은 93.0%였다. 이에 비해 중고 육아용품을 구매해본 경험은 75.3%, 대여하거나 돌려쓴 경험은 52.8%로 비교적 낮았다. 육아용품 대여가 가능한 곳을 모르거나, 업체가 너무 멀어 이용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40.2%에 달했다.
부모 10명 중 9명 이상은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자녀를 키우며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양육에 자신감을 느낀다’고 답한 비율은 51.4%로 저조했다. 특히 예비 엄마의 경우 43.9%만이 ‘아이를 키우는 것이 자신 있다’에 동의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7-02-14 12면